'개수'가 표준어이다.
개수
'개수'란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를 뜻한다. 그렇다면 '개수'와 '갯수' 어떤 것이 표준어일까?
'개수'는 '한글 맞춤법' 제4장, 제4절, 제30항에 의해 합성어로 볼 수 있는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에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게 되어있다. '개수'는 해당 맞춤법에 속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고, '개수'로 적는 게 바람직한 표준어이다.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갯수'로 잘못 알고 있는 듯하다.
ChatGPT에서는 어떻게 알려줄지 궁금해서 물어본 결과 ChatGPT에서도 '개수'를 표준어로 보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정확하게 알려주고 있다.
헷갈리는 우리말
굳은살 박히다 vs 굳은살 박이다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굳은살 박이다'가 맞는 표현이다. 박이다 '박이다'란 깊이 배다 꽂히듯이 끼어들어 가거나 뚫고 들어가 그 상태로 고정되다 생겨 단단하게 되다 버릇, 생각, 태도 따위가 깊이 배다 손바닥, 발바
it-developer-tistory.tistory.com
사단이 나다 vs 사달이 나다, 어떤게 표준어인가❓❗
'사달'이 표준어입니다. 사달이 나다 표준국어대사전 사고나 탈.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일어나 사건이나 사고. 우리말샘 사고나 탈. '사단이 나다'와 '사달이 나다'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사고
it-developer-tistory.tistory.com
[맞춤법] 가시가 돋힌 vs 가시가 돋친 표준어는 무엇일까❓
'돋친'이 표준어이다.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 (Rose Blossom) 아티스트 H1-KEY (하이키) 앨범 H1-KEY 1st Mini Album [Rose Blossom] 발매일 1970.01.01 돋치다 '돋치다'는 밖으로 생겨 나와 도드라지다 라는 의미이
it-developer-tistory.tistory.com
'지식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다랗다 vs 길다랗다 어떤게 표준어인가❓ (1) | 2023.03.17 |
---|---|
짧다란/짤다란/짤따란/짧따란 도대체 무엇이 맞는 말인가❓ (2) | 2023.03.16 |
굳은살 박히다 vs 굳은살 박이다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1) | 2023.03.14 |
사단이 나다 vs 사달이 나다, 어떤게 표준어인가❓❗ (1) | 2023.03.13 |
[외래어] 내비게이션 vs 네비게이션 어느것이 표준어 일까? (0) | 2023.03.10 |
댓글